간송미술문화재단에서는 [간송과 백남준의 만남 - 문화로 세상을 바꾸다] 전시를 위해 조선 중기화단의 대가 연담 김명국과 조선 남종화의 대가 현재 심사정의 대표작들과 함께 기이하고 독특한 품행으로 잘 알려진 조선 후기의 호생관 최북의 산수화 및 인물화 그리고 조선 말의 대표적 화원화가 오원 장승업의 작품 들을 출품합니다. 

 

간송컬렉션의 작품들과 함께 백남준아트센터에서도 28점의 작품이 출품됩니다. 1950년대 독일 플럭서스 활동기의 자료들로부터 1960년대의 기념비적 퍼포먼스 영상인 [머리를 위한 선], 1970년대의 대표작인 [TV 부처]와 [TV 첼로] 등이 나옵니다. 1980년대 이후 시기의 대표적 설치 작품인 [비디오 샹들리에 1번], [코끼리 마차], [달에 사는 토끼], [TV 시계]도 놓칠 수 없는 명작들입니다.

 

단순히 좋은 작품의 나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작품 연관성에 깊은 의미를 두어 매칭을 시도했습니다. 예를 들어 장승업의 [기명절지도]와 백남준의 [비디오 샹들리에]를 매칭시켰습니다. 기명절지도가 아시아문화권에서 통상적으로 ‘길상’의 의미를 담듯이, 서구문명에서의 샹들리에는 ‘부유함’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. 부유함을 의미하는 샹들리에에 대중의 일상을 보여주는 TV를 배치함으로 사람들이 누릴 수 있는 복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보여줍니다. 

 

또한 장승업의 [오동폐월]과 백남준의 [달에 사는 토끼]가 함께 매칭이 됩니다. 장승업 작품 속에서 봉황이 앉는다는 오동나무 밑 둥치에서 노란 국화가 피며 개는 달을 향해 짖습니다. 백남준의 나무로 조각한 토끼는 TV 화면 속 달을 응시합니다. 달과 동물이라는 아주 흔하지만 특별한 소재가 함께 만난 것이 재미있고 우리들 상상 속의 봉황과 달에 사는 토끼를 통해 달이라는 소재가 주는 상상력의 자극을 함께 생각하게 합니다. 또 하나의 예시로 심사정의 대표작 [촉잔도권]과 백남준의 대표작 [코끼리 마차]의 매칭을 들 수 있습니다. [촉잔도권]은 촉(蜀) 지역으로 가는 힘든 여정을 말년에 심사정이 그린 그림입니다. 구비구비 험준한 산길과 일렁이는 물길을 건너야만 갈 수 있는 이상적 공간입니다. 백남준의 [코끼리 마차]는 인간의 정보와 교류가 고되고 직접적인 물리적 이동으로부터 정보통신처럼 빠르고 간편한 이동으로 발전해온 장구한 인류사의 발달과정을 함축하고 있습니다. 두 작품 모두 작가들의 사람과 사람의 미래에 대한 이상적이면서 낙관적인 믿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 ​